관리 메뉴

NeoProgrammer's Digital Image Processing

윈도우 11에서 WSL을 이용한 우분투 개발 환경 만들기 본문

Pytorch framework/1. Setting

윈도우 11에서 WSL을 이용한 우분투 개발 환경 만들기

NeoPgmr. 2024. 9. 25. 08:00

가끔 윈도우에서 딥러닝 실험 환경이 세팅되지 않는 경우를 위해 리눅스가 설치된 서버에서 실험 환경을 잡는 경우가 빈번

하지만 간단한 실험을 돌리기에 서버 환경을 매번 접속하는 것은 종종 불편한 경우가 많아 윈도우에서 가상 머신을 이용할 경우 편리함

이럴 때는 보통 도커를 쓰거나 WSL을 통해 가상 환경을 생성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WSL 설치 방법을 확인할 예정

(다만 WSL의 경우 multi-gpu 사용 환경이 제대로 구성되지 않아 single-gpu인 PC에 설정하는 것을 추천) 

    WSL을 이용한 우분투 환경 설정


■ WSL을 설치하기 위한 사전 환경 설정

□ Windows 추가 기능 켜기/끄기에서 hyper-v, linux 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사용 check

WIN + S 단축키를 통해 윈도우 검색을 실행하고 windows 추가 기능 켜기/끄기 옵션 활성화

아래와 같은 창에서 Hyper-V, 리눅스용 하위 시스템 사용 옵션을 활성화

■ WSL 설치

□ WSL 버전 업데이트 

cmd 혹은 powershell을 관리자 모드로 실행

아래 명령어를 통해 설치된 WSL 업데이트를 진행 (recommended)

wsl --update

 

□ WSL2 사용 활성화

도커 혹은 쿠다를 이용한 gpu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WSL2 버전 사용이 권장됨

아래 명령어를 통해 WSL2 버전 활성화

wsl --set-default-version 2

 

□ WSL 배포판 확인

아래 명령어를 통해 설치가능한 WSL 배포판들을 확인

wsl --list --online

■ 우분투 설치

□ 디폴트 패키지 설치

특정 버전에 대한 선호도가 없을 경우 아래 명령어를 통해 wsl 설치 진행

wsl --install

□ 특정 배포판 설치

특정 버전이 설치하고 싶은 경우 아래 명령어와 같이 배포판의 이름으로 설치 가능

wsl --install Ubuntu-22.04

□ 우분투 계정 설정

필요한 설치가 끝난 후 우분투 계정 설정이 이루어짐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한 후 설치 완료

□ 설치 완료

설치가 완료된 후 아래와 같이 unix 기반의 리눅스 명령어 창이 사용중이던 cmd 혹은 powershell에서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 GPU 시스템 확인

설치 후 대부분의 우분투 명령어 및 패키지는 사용가능

윈도우에 GPU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GPU가 시스템에 잡혀지게 됨

윈도우에서 사용중인 GPU가 정상적으로 잡히는지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

nvidia-smi


글 맺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에서 우분투를 사용하기 위해서 WSL를 이용하여 가상 머신 설치하는 방법을 포스팅

Comments